본문 바로가기

근로기준법/임금

주휴수당- 시급제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 및 계산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알바를 할때 주휴수당 계산하는 방법을 모는 경우가 있는데요. 시급제 주휴수당의 경우 계산하는 방법과 계산기에 대해 한번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상 휴일

 

근로기준법상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 휴일을 보장해야 하며 이를 주휴일이라고 합니다. 주휴일은 1주일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휴일입니다. 그래서 결근이 있는 경우에는 주휴수당이 지급되 않습니다. 

 

주휴일은 반드시 일요일만을 의미하는것은 아니며 다른 요일을 주휴일로 부여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근로 계약서난 취업규칙등 별도 항목이 있다면 그것을 확인하시면 되고 대부분은 일요일을 주휴일라 여기면 됩니다. 

 

 


 

주휴수당 조건

 

주휴일이 나오기 위해서는 일주일간 재직이 필요하며 4주평균 15시간이상 근로를 해야 합니다. 단 휴게시간을 제외한 소정근로시간이 주 15시간 이상인 경우에 발생이 됩니다. 

 

앞서 말했지만 1주 소정근로일은 개근을 해야합니다. 내가 1주에 40시간을 근무하며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개근을 해야 주휴일이 발생하는것이며 결근을 하면 주휴수당이 나오지 않습니다. 

 


 

주휴수당이 제외되는 경우 

 

다시말해 1주 소정근로일 개근 하지 못한경우 그리고 4주간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경우 등은 제외가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1. 시급, 일급, 주급, 월급을 먼저 선택을 합니다.

2. 지급 받는 방법을 일급, 주급, 월급, 연봉을 선택합니다.

3. 본인의 시급을 넣습니다. (최저시급은 9620원)

4. 본인이 계약한 일일 근무시간을 넣어줍니다.

5. 마지막 일주 근무 일수를 넣고 세금 여부 선택 후 클릭

 

예상 월급 그리고 주휴수당 금액이 나오니 한번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급여 계산기

일일 근무시간 시간선택30분1시간1시간 30분2시간2시간 30분3시간3시간 30분4시간4시간 30분5시간5시간 30분6시간6시간 30분7시간7시간 30분8시간8시간 30분9시간9시간 30분10시간10시간 30분11시간11시간

m.albamon.com

 

 

<함께 읽으면 좋은 내용>

 

 

반차 조퇴 차이 및 반차 조퇴 유급무급 여부

반차 조퇴를 회사에서 차이는 잘 몰라도 자주 사용하는 사람도 있고, 두 개를 혼재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퇴나 반차 모두 근로기준법에 나와있는 법적 용어는 아니지만 자주 사용하

questionqueen.tistory.com

 

반응형

'근로기준법 > 임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군인 월급 계급별 군대 복무 기간 정리  (1)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