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이야기/경제 이야기

미국 경제 전망 및 금리 인상 (Feat 한국 금리 전망 비교해보기)

반응형

미국 금리 인상 및 경제 전망, 한국의 금리는 어떻게 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제 뉴스를 한번 들고 왔습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골디락스 신호 vs 침체이다"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한번 자세하게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미국 지금은 논쟁중?

 

 

미국 노동부가 고용지표를 발표가 발단이 되어 논쟁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상황이라는 골디락스 신호라는 편과 함께

경제 침체는 불가피하며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이죠.

 

 

골디락스에 기대를 하는 사람들은

고용이 강하게 유지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꺾이고 있으며

경제 침체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후자에 경우 골디락스는 월가의 희망사항일 뿐 

고금리가 계속됨에 따라 필연적으로 침체가 올 것이라는 의견입니다. 

또한 기대 인플레이션이 꺾였지만 그것만으로는 증거가 부족하다는 의견입니다. 

 

마이클 월슨 모건스탠리 전략가는 올해 미국 경기 침체가 도래한다면

미국 주식이 현재 보다 22% 추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월가의 금리 전망

 

현재 미국의 금리는 4.5%입니다.

 

월가는 최종금리 5%-5.25% 전망을 했으며, 두 달 전 35%인 것에 비해 60%로 더 올라간 수준입니다. 

 

한국의 금리 전망

 

 

시장 경제 전문가 20명을 설문조사 한 결과 한은이 13일 0.25% 올리지 않을까 하고 예상했고

전문가의 60%는 금리 종점은 3.75% 예상, 50% 하반기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직 어디까지 올라갈지, 언제 인하할지는 알 수 없지만

실제로 13일 한국은행은 0.25% 올려서 기준 금리 3.5%가 되었습니다.

 

물가가 아직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인상을 했다고 합니다. 

 


 

경기 침체에 대한 미국 월가의 엇갈린 반응과 함께

한국의 금리 인상 소식을 전해 드렸습니다. 

 

하지만 워낙 변수가 많으니 꾸준히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반응형